본문 바로가기

사진Study

#3. 카메라 모드. P, B, Av, M, Fv, SCN ? 이게 다 뭐지?

반응형

글을 쓴 이유

지인이 카메라는 있지만 카메라에 대해 잘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 설명하던중 너무 중구난방으로 설명한것같아 본인도 공부하기 위함.

 

 

카메라  모드(Mode) - 많이 사용 하는 순서로 소개

Av - 조리개 우선조절 모드, 대상을 부각시키기 위한 아웃포커싱이나 밝은사진이 필요할경우 F값을 낮출 수 있어 사용한다.
M - 수동 조절 모드, 원하는 셔터스피드와 조리개값을 변경 할 수 있지만 F값과 S값에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다.
Tv - 셔터스피드 조절 모드, Time Value의 약자로, 셔터속도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이 값은 사진 밝기에 지대한 영향을 줍니다.
P - 프로그램 모드, 흔히 초보자분들이 가장 먼저 접하는 모드로 자동으로 사진값 정해서 찍어주는 핸드폰 카메라라 보면 된다.
SCN - scene모드, 특별한 장면을 담기좋게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모드로 EOSrp에선 [인물, 단체사진, 풍경, 스포츠]가 있다.

 

저같은 경우는 조리개 모드(90%), 수동모드(5%), 셔터스피드(4%), B(=Bulb, 벌브, 1%)의 빈도로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사진기가 정해주는대로 찍는것은 결국 제가 원하는것도 아닌 남들도 찍을수 있는 사진이란 얘기고 그때의 제 감정이나 담고 싶은 분위기나 그때의 이야기를 담는것에 대한 제약이 걸린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편한것도 좋지만 같은시간 같은장소 같은 피사체를 두고 찍은 사진이 찍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게 사진의 매력이라고 생각하기에 자동모드는 지양하는 편입니다. 
즉, 본인 스타일에 맞는 모드를 찾기에 앞서 각 모드가 무엇인지, 이 모드를 사용했을때 어떻게 사진이 찍히는지에 대해 알고서 몇장 찍어보신 뒤 
본인에게 맞는 스타일을 정립해 가는 과정을 거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v 모드로 찍은 사진들 몇장 소개드리는 시간 가지겠습니다. 부족한 실력인만큼 참고용으로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F값 높게, 삼각대, 장노출 사진

 

➡️야간 촬영당시에는 조리개값이 0에 가까운 1.2 or 1.4 or 1.8 or 2.8정도가 좋으며 그렇지 않은 렌즈일 경우 위 사진처럼 장노출을 통한 광량 수집을 통해 고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광량 수집하는동안 본체가 흔들리면 사진 자체가 흔들려서 못 쓰게 되는 사진이 될 수 있기에 장노출에 삼각대는 필수 입니다.

 

 

 

➡️F값을 낮추거나 위와같이 피사체와 주위 사물들의 원근감을 이용하면 아웃포커싱 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앞선 조건 중 후자로 F값은 4였으며 아웃포커싱이 잘 된 상태입니다.

 

 

➡️위와같은 사진은 조리개값이 낮은 단렌즈를 이용하여 촬영하였습니다. F값이 낮고 광량이 많은 상태라면 iso 낮춤을 통한 고품질의 사진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도 고양이 사진과 비슷한 사진입니다. 조리개값이 낮아질수록 피사체 중심으로 초점이 잡히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이에 따라 주변부가 흐려지며 아웃포커싱 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입니다.

 

 

➡️빛이 많이 없는 실내의 경우에는 F값이 낮은 단렌즈가 아주 유리한데 Av모드를 활용하여 조리개를 낮춰줌으로써 밝고 선명한 사진을

취득할 수 있게 됩니다.

 

위와같은 이유로 자주 사용하는 Av모드, 안사용할 이유가 없겠죠? ㅎㅎ 집에 사진기가 있거나 사진기 모드에 대해 잘 모르셨던 분들은 이번 기회에
조리개 우선모드를 통한 양질의 사진을 얻으시길 기원할게요~

 

부족하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작지만 도움이 되셨길 빌게요~ 📷

반응형